SI 업체 순위보다, 먼저 따져야 할 3가지 체크리스트

외주 개발 가이드
2024-10-10

삼성 SDS, LG CNS, SK C&C, KT DS. 이 회사들의 공통점은 뭘까요? 맞습니다. 이 회사들은 모두 ‘SI 기업’입니다. SI란, System Integrator의 약자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을 통합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SI 기업은 이러한 서비스를 개발해 주는 IT 회사를 말하고요. ​

SI 기업은 디자인, UI/UX 설계, 앱 제작, 네트워크 통합 등 다양한 솔루션을 포함하기 때문에 보통 IT 대기업들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최상위 SI 기업은 어디일까요? 이어서 SI 업체를 찾을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이 글의 순서

• 어떤 기업이 최상위일까? SI 기업 순위
• SI 기업의 순위보다 중요한 것은?
• 건강한 SI 업체 만나는 방법 = 위시켓

어떤 기업이 최상위일까? SI 기업 순위 ​

우선 SI 기업 순위를 따질 때는 크게 1)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자 수, 2) 평균 연봉(추정치), 3) 매출액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즉, 인원, 연봉, 매출로 나누어 ‘최상위 SI 기업’을 살펴보는 거죠.

(※참고: 공공데이터포털 ’23년 11월 국민연금 가입 사업장 내역) ​

[인원] 국민연금 사업장 가입자 수
(단위 : 명)
[연봉] 평균 연봉 (단위: 백만 원) [매출] 매출액 (단위: 10억 원)
1. 삼성SDS : 11,628
2. LG CNS : 6,769
3. 현대오토에버 : 4,838
4. SK C&C : 3,936
5. 롯데정보통신 : 2,824
6. 포스코DX : 2,025
7. 미라콤아이앤씨 : 1,736
8. 메가존클라우드 : 1,662
1. 삼성SDS : 70
2. 현대오토에버 : 69
3. SK C&C : 68
4. 미라콤아이앤씨 : 68
5. LG CNS : 68
6. 포스코DX : 67
7. 한화시스템 : 66M
8. CJ올리브네트웍스 : 63M
1. 삼성SDS : 5,968
2. LG CNS : 4,969
3. 현대오토에버 : 2,755
4. SK C&C : 2,197
5. 메가존클라우드 : 1,265
6. 포스코DX : 1,153
7. 롯데정보통신 : 1,048
8. CJ올리브네트웍스 : 665

대략적인 순위를 따져 보는 데에는 효과적인 자료임이 분명하지만 의문의 여지도 있습니다. 삼성 SDS나 현대 오토에버는 각각 물류, 자동차 SW를 개발/운영하는 인력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죠. 또한 SK C&C의 경우 지주사 인원이 포함되어 있어 데이터가 다소 왜곡돼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보통 눈에 자주 띄는 기업이 SI 업체의 상위 업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SI 기업 순위보다 중요한 건? ​

그런데 SI 기업 순위보다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이 있습니다. SI 개발 외주 프로젝트를 맡기기 전, 단순히 기업 순위만 고려해선 안 된다는 뜻이죠. 아무리 훌륭한 SI 개발 업체라도 이러한 중요사항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개발 프로젝트 성공 확률은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

1. SI 대상 프로젝트는 ‘핵심’이 아닌 경우에만

SI는 시스템을 통합하는 개발 프로젝트로, 때로는 핵심 IT 기술 통합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사업의 핵심 IT 기술이라면 외주 프로젝트를 맡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도용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외주업체의 스타일대로 SI 프로젝트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특히, 시스템 통합과 같이 복잡한 작업은 클라이언트가 일일이 코칭하고 요구사항을 정리하기 힘듭니다. 핵심 IT 기술이 외주업체의 스타일대로 수정 또는 변경된다면, 사업에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2. 거듭되는 하청을 조심하기

SI 프로젝트는 개발 규모가 매우 큰 편입니다. 그러다 보니 위에서 언급한 대기업들이 ‘수주’를 맡고, 실질적인 개발은 ‘하청’을 주는 경우가 흔합니다. 당연히 하청에 하청을 거듭하다 보면 책임감 있는 결과물이 나오기 힘듭니다.

특히, SI 업체는 자체 서비스를 가진 게 아니라 타사의 시스템 프로젝트를 ‘수주’ 받아야 수익이 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영업력이 곧 수익과 직결되죠. 이런 이유로 SI 업체에서는 영업에 인건비를 투입하는 대신 개발에 들어가는 인건비를 줄이곤 합니다. SI 개발 프로젝트에서 소스코드의 품질이 떨어지는 까닭이기도 합니다. ​

3. 적절한 비용을 제시하는 업체를 선택하기

1, 2번을 통해 알 수 있듯이 SI 외주 프로젝트는 ‘싸고 좋게’ 개발하기 어렵습니다. 너무 저렴한 업체는, 그만큼 SI 품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죠. 소스 코드의 품질이 엉망이면 유지/보수를 할 때도 해당 업체와만 계약해야 하며, 나중에는 클라이언트가 오히려 업체에게 끌려다니는 경우도 생깁니다. ​

그러므로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는 업체를 선택해야 합니다. 만약 예산이 너무 제한되어 있다면, SI 개발 범위를 줄여 보세요. 꼭 필요한 핵심 기능에만 집중하는 겁니다. 특히, 요구사항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적는다면 그만큼 합리적인 예산 책정이 가능해집니다. ​

SI 업체 선택, 성공 사례를 먼저 확인하세요!

SI 업체를 선택할 때는 순위보다 실제 프로젝트 경험과 포트폴리오가 더 중요합니다. 유사한 프로젝트 사례를 참고하면 개발 방향을 더욱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시켓은 국내 1위 IT 아웃소싱 플랫폼으로, 10만 개 이상의 기업이 검증된 SI 개발사와 협업해 맞춤형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위시켓에서 검증된 SI 개발사들의 포트폴리오를 확인하고, 최적의 개발 파트너를 찾아보세요!

🔖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어플 개발 비용&예산 산정 가이드 (ft. 위시켓)

앱개발 비용 줄이는 방법, ‘기간’ 다이어트

SI 업체 능력치 높이는 클라이언트의 기술 8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