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개발 요구사항 정의서, 필수 항목 5가지

외주 개발 가이드
2024-09-25

어플 제작 업체에게 개발 외주를 맡기려면 우선 ‘요구사항’부터 정리해야 합니다. 요구사항이란 어플에 들어갈 기능이나 서비스, 메뉴 구조, 화면 구성 등을 의미하는데요. 이러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구성한 문서를 가리켜 요구사항 정의서라고 합니다.

요구사항 정의서는 어플 제작 업체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참고하는, 어플 제작 외주의 가장 기초가 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하기 위한 첫 단계, 즉 ‘요구사항 정리’는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의 순서

• 요구사항 정의서, 이 5가지 꼭 넣으세요.
• 요구사항 정의서 구성하는 법
• 어렵다면 언제든 ‘위시켓’ 하세요.

요구사항 정의서, 이 5가지 꼭 넣으세요.

1. 앱의 기본적인 정보

모든 책에 목차가 있듯, 요구사항 역시 처음에는 앱의 기본 정보, 즉 ‘앱에 대한 개요’가 필요합니다. 이 앱의 목표는 무엇인지, 핵심 기능은 무엇인지, 수익 모델은 어떠하고 타겟층은 누구인지, 레퍼런스로 참고할 만한 앱은 무엇인지 등. 뒤에서 상술할 예정이므로 개요는 간단 명확하게, 핵심만 작성해도 충분합니다. 아래를 참고해 작성해 보세요.

💡 기본 정보

・ 앱의 목표: 문제는 무엇이고, 이 앱이 해결해 줄 수 있는 까닭
・ 타겟층: 연령, 성별, 지역, 직업 등
・ 핵심 기능: 앱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기능(예시 – 카카오T: 택시 예약 / 토스: 간편 송금)
・ 수익 모델: 주된 수익 모델(예시 – 광고, 구독, 인앱 결제 등)
・ 레퍼런스: 참고할 만한 앱(예시 – 배달 앱: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2. 기능 목록

앱의 기능을 정의한 것으로, 요구사항의 가장 핵심이 되는 파트입니다. 만약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하는 단계라면 아주 세세하게 작성해야겠지만, 요구사항만 정리하는 단계이거나 요구사항 정의서까지 어플제작업체에게 맡기고자 한다면 필요한 기능 위주로 정리하면 됩니다. 단, 몇 가지 핵심적인 기능은 반드시 작성해야겠죠.

또한 무조건 많은 기능이 들어간다고 반드시 좋은 앱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초창기 많은 인기를 얻었던 카카오톡이나 인스타그램, 토스 등은 모두 한 가지 기능(무료 메신저, 사진 공유, 간편 송금)으로 성공했습니다. 핵심이 되는 기능에 최대한 집중하시길.

3. 수익 창출 전략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앱이 아니라면 수익 모델을 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굳이 요구사항 정의에 필요한가 싶겠지만, 수익 창출 전략에 따라 필요한 기술이나 기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미리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iOS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 OS 구글 플레이는 각 스토어에 등록할 때, 앱 결제와 관련하여 까다롭게 심사하는 편입니다. 보통 앱 내 수익 모델은 ‘인앱 결제, 구독, 광고’를 꼽는데요. 각각 앱 개발에 필요한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만약 앱으로 수익을 얻는 것이 목적이라면 처음부터 수익 모델을 고려해서 개발해야 합니다.

4. 앱 운영과 유지 보수

앱은 개발뿐 아니라 개발 이후에도 신경 써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운영체제마다 각각 앱을 개발한다면 개별로 운영해야 하고, OS 업데이트 주기에 맞춰 앱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버그나 오류, 최적화도 수시로 진행해야 하죠. 그러므로 요구사항에는 앱 운영 및 유지 보수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5. 기타 요구사항

기능이나 수익 모델은 아니지만 추가로 구현해야 할, 혹은 필요한 서비스가 있다면 ‘기타 요구사항’에 작성합니다. 예를 들면 다국어 지원이나 플랫폼 호환성, 고객 지원, 어플 커스터마이징 등이 여기에 해당되겠죠. 혹은 이 부분에 레퍼런스를 좀 더 많이 첨부하여, 개발자의 이해를 도울 수도 있습니다.

요구사항 정의서 구성하는 법

어플제작업체에 전달해야 하는 요구사항의 기본 요소를 알아보았으니, 이제 구체적으로 요구사항 정의서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볼까요? 일반적인 요구사항 정의서의 흐름은 다음과 같이 전개됩니다. 작성하실 때 참고하세요.

✅ 요구사항 정의서 예시(sample)

1. 프로젝트 개요
– 목표, 타겟층, 핵심 기능, 수익 모델, 레퍼런스 등
2. 기능적 요구사항
– 어플의 핵심 기능
– 어플의 주요 기능
– 어플의 기타 기능
3. 비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 성능, 보안, 사용성, 확장성 등
4. 수익 모델
– 광고, 인앱 결제, 구독 등
5. 기타 요구사항
– 다국어 지원, 플랫폼 호환성, 고객지원, 어플 설정, 레퍼런스

이렇게 작성하면 어플제작업체가 고개를 끄덕일만한 요구사항 정의서 초안이 됩니다. 만약 직접 요구사항 정의서를 작성하는 경우라면 2번, 3번을 좀 더 구체적이고 자세히 적고, 외주를 맡긴다면 이대로 전달해도 좋습니다.

어렵다면 언제든 ‘위시켓’ 하세요.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에 어려움을 느끼고 계시나요? 그렇다면 위시켓을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위시켓은 국내 1위 IT 아웃소싱 플랫폼으로 프로젝트마다 1:1로 전담 매니저가 붙어 어플 제작 외주를 맡길 때 꼭 필요한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부터 업체 선정, 실무 미팅과 일정 조율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합니다. 예비 창업 기업부터 유니콘으로 성장한 스타트업, 대기업 프로젝트까지 폭넓은 경험으로 여러분의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리드해 드립니다.

위시켓 공식 사이트에서 여러분과 유사한 프로젝트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해 보세요.

🔖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리소스 관리로 앱개발 비용 줄이는 법

앱개발 비용 줄이는 방법, ‘기간’ 다이어트

프로그램 제작 외주 ‘요구정의서’가 꼭 필요한 이유